코딩로그
[대학수학] 미분법칙 본문
[다항함수와 유리함수의 미분]
-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것 → "함수를 미분한다."
- 미분의 기본 성질
미분의 기본 성질
- 함수 y = f(x)와 y = g(x)가 미분 가능한 함수일 때, 다음이 성립
d df
(1) ㅡㅡ * (cf) = c ㅡㅡ (단, c는 상수)
dx dx
d df dg
(2) ㅡㅡ * (c ± f) = c ㅡㅡ ± ㅡㅡ (복부호 동순)
dx dx dx
- 거듭제곱의 미분
거듭제곱의 미분
- 상수 함수 y = c의 도함수는 f'(x) = 0
- 자연수 n에 대하여 y = x^n의 도함수는 f'(x) = n * x^(n-1)
- 미분의 기본 성질(2)
미분의 기본 성질
- 함수 y = f(x)와 y = g(x)가 미분 가능할 때 다음이 성립
d df dg
(1) ㅡㅡ * (fg) = ㅡㅡ * g + f * ㅡㅡ
dx dx dx
d f f'g - fg'
(2) ㅡㅡ ( ㅡㅡ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단, g(x) != 0)
dx g g ^ 2
- 거듭제곱의 미분(2)
거듭제곱의 미분
- 정수 n에 대하여 y = x^n의 도함수 → dy / dx = n * x^(n-1)
[연쇄법칙과 음함수 미분법]
- 연쇄법칙 → 합성함수를 미분하는 방법
연쇄법칙
- 미분가능한 함수 z = f(y)와 y = g(x)에 대한 합성함수 z = f(g(x))의 미분
dz dz dy
ㅡㅡ = ㅡㅡ * ㅡㅡ = f'(g(x))g'(x)
dz dy dx
- 음함수
- F(x, y) = 0의 형태로 함수 표현 → 간단한 경우 O
- F(x, y) = 0이 복잡한 형태인 경우 y = f(x)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음
- 그러나, x가 정해질 때 y의 값은 F(x, y) = 0을 만족하는 값으로 정해짐 → y가 x에 대한 함수 → 음함수
- dy / dx = -x / y (단, y != 0)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평균값 정리와 함수의 최대 최소 (0) | 2022.10.25 |
---|---|
[대학수학] 초월함수의 미분 (0) | 2022.09.29 |
[대학수학] 미분계수와 도함수 (0) | 2022.09.25 |
[대학수학] 함수의 연속 (0) | 2022.09.17 |
[대학수학] 함수의 극한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