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로그
[대학수학] 수열의 극한 본문
[수열의 극한]
- 수열
- 정의역 → 자연수의 집합 N, 공역 → 실수 전체의 집합 R일 때, f : N → R
- f(n) → 일반적으로 a(n)으로 표현, 더욱 간단하게 f(n) = an으로 표현
수열
- 자연수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수치함수
- 무한수열(infinite sequence)
- 정의역이 자연수 전체로서 무한한 대응 관계를 이루는 함수
- 이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수 an → 항(term)
- 유한수열
- 수열의 정의역이 위로 유계
- 수열의 일반항
- 수열의 n번째 항인 an을 n에 관한 식으로 표현 O
- n = 1, 2, 3...을 대입해 수열의 각 항 구할 수 O
- 일반적인 수열의 항 구할 수 O → an, 수열의 일반항
- 등차수열
- 이웃하는 두 항의 차가 d로 일정한 수열
- an = a1 + (n - 1)d
- n = 1, 2, 3...
- 등비수열
- 이웃하는 두 항의 비가 r로 ㅇ리정한 수열
- an = a1 * r^(n - 1)
- n = 1, 2, 3...
- 수렴(converge)
- 일반적으로 수열 {an}에서 n이 계속 커짐에 따라 an이 일정한 값 α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경우
- 수열 {an}은 α에 수렴한다
- α → 수열 {an}의 극한값 or 극한
수렴
- 임의의 양수 ε에 대해, 조건 n > N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α| < ε를 만족하는 자연수 N이 존재하는 경우
{an}은 α에 수렴함
- an → α로 표현
α는 an의 극한값
- 발산(diverge)
- 수열 an가 수렴하지 않는 경우
- an이 양수로서 한없이 커지는 경우, 수열 {an}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an이 음수로서 그 절댓값이 무한히 커지는 경우, 수열 {an}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an이 여러 개의 값에 가까워지지만 일정한 하나의 값에 수렴하지 않는 경우, "수열 {an}을 진동(oscillate)한다"
- 수렴수열의 성질
-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값은 유일
- 수렴하는 수열은 절댓값이 유계(bounded)
- 충분히 큰 양의 실수 M이 존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
- |an| <= M
- 단조증가(monotone increasing) → 수열 {an}이 an <= an+1을 만족
- 단조감소(monotone decreasing) → 수열 {an}이 an >= an+1을 만족
- 단조수열(monotone) → 단조증가 or 단조감소인 수열 → 단조수렴정리 성립
- 충분히 큰 양의 실수 M이 존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
- 단조수렴정리
- 단조이고 유계인 수열은 수렴함
- 단조증가 + 유계 수열 → 수열의 상한에 수렴
- 단조감소 + 유계 수열 → 수열의 하한에 수렴
- 자연로그
- 자연로그의 밑 → e, 무리수
- 수열의 연산
- 무리수를 포함한 수열 → 켤레복소수를 분자, 분모에 곱해 극한값 계산
- 조임정리
- 수열 an, bn이 모두 α로 수렴, an <= xn <= bn을 만족하는 경우, xn도 α로 수렴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급수의 수렴, 발산 판정법 (0) | 2022.09.16 |
---|---|
[대학수학] 급수 (0) | 2022.09.16 |
[대학수학] 초월함수 (0) | 2022.09.09 |
[대학수학] 여러 가지 함수 (1) | 2022.09.08 |
[대학수학] 함수의 연산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