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로그
[대학수학] 여러 가지 함수 본문
[여러 가지 함수]
- 우함수, 기함수
우함수
- even function
- y축 대칭의 형태를 가지는 함수
- 함수가 짝수 제곱의 항으로 이루어져 있음
- -x, x에서의 함숫값이 항상 같으므로 y축 대칭인 그래프의 형태
- 함수 f : R → R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f(-x) == f(x)일 때 f
기함수
- odd function
- 원점 대칭의 형태를 가지는 함수
- 함수가 홀수 제곱의 항으로 이루어져 있음
- x, -x에서의 함숫값이 절댓값은 같고 부호만 반대이므로 원점에 대칭인 그래프의 형태
- 함수 f : R → R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f(-x) == -f(x)일 때 f
- 대수적 함수
- f(x) = C, (C는 상수)인 상수함수와 f(x) = x인 항등함수에 대수적인 연산을 유한 번 적용하였을 때 얻는 함수
- 대수적 연산 → 사칙연산, 거듭제곱, 거듭제곱근 등
- f(x) = C, (C는 상수)인 상수함수와 f(x) = x인 항등함수에 대수적인 연산을 유한 번 적용하였을 때 얻는 함수
- 다항함수
- polynomial function
- 함수 f(x)가 x에 대한 다항식일 때, y = f(x)
- a0 != 0이면 이 다항함수 f → n차 함수
- 분수함수
- f(x) = p(x) / q(x), (q(x) != 0)
- 두 가지 함수를 분수 형태로 나타낸 함수
- 유리함수
- 다항함수 + 유리함수
유리함수
- 함수 y = f(x)에서 f(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y = f(X)
- 분모가 0이 되는 x 값은 정의역에서 제외
- 유리함수 f(x) = p(x) / q(x)는 분모의 q(x)가 0이 아닌 상수함수이거나
p(x)가 q(x)로 나누어 떨어지면 다항함수, 그렇지 않으면 분수함수
- 무리함수
- 유리함수와 배타(exclusive)적 관게에 있는 함수
무리함수
- 함수 f(x)가 x에 대한 무리식일 때, y = f(x)
- 근호 내에 x에 관한 식이 존재하는 함수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수열의 극한 (0) | 2022.09.15 |
---|---|
[대학수학] 초월함수 (0) | 2022.09.09 |
[대학수학] 함수의 연산 (0) | 2022.09.07 |
[대학수학] 전단사함수와 역함수 (0) | 2022.09.07 |
[대학수학] 함수의 정의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