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로그
[대학수학] 함수의 정의 본문
[함수의 정의]
- 함수의 정의
- 두 집합 간의 관계, 두 집합에 속한 원소 간의 관계
- 두 집합 X, Y에 대해 집합 X의 원소 x가 집합 Y의 원소 y에 짝지어진다면,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대응
- X에서 Y로의 함수 f를 기호로는 f : X → Y로 나타내고 만약 x ∈ X가 함수 f에 의해 y ∈ Y로 대응되면 y = f(x)로 나타냄
함수의 정의
- 집합 X, Y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원소 x ∈ X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원소 y ∈ Y가 오직 하나만 존재할 때,
이 대응을 f라고 하면 f를 X에서 Y로의 함수라고 함
- 정의역
- 함수 f : X → Y에 대한 X
- 공역
- 함수 f : X → Y에 대한 Y
- 함숫값
- 정의역 X의 원소에 대응하는 공역 Y의 원소 f(x)
- x의 함숫값
- 치역
- x의 함숫값 전체의 집합
- f(X) = {f(x) ∈ Y | x ∈ X}
- 공역의 부분집합
- 항등함수
- 정의역과 각 x에 대응되는 원소가 항상 같은 경우
- 상수함수
- 집합 X의 모든 원소가 대응되는 Y의 값이 같은 경우
- 함수의 그래프
- 함수 == function
- 입력값 x를 처리하여 f(x)를 출력하는 일종의 상자
- y = f(x)
- x → 독립변수, 설명변수
- y → 종속변수, 반응변수
- 함수 y = f(x)의 그래프(graph)
- y = f(x)를 만족하는 해의 순서쌍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점들의 집합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함수의 연산 (0) | 2022.09.07 |
---|---|
[대학수학] 전단사함수와 역함수 (0) | 2022.09.07 |
[대학수학] 집합의 원소 개수와 고전적 확률 (0) | 2022.09.07 |
[대학수학] 집합 연산의 기본 정리 (0) | 2022.09.06 |
[대학수학] 집합의 연산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