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코딩로그

[대학수학] 집합의 원소 개수와 고전적 확률 본문

YJ/대학수학

[대학수학] 집합의 원소 개수와 고전적 확률

Team DAON 2022. 9. 7. 01:37

[집합의 원소 개수와 고전적 확률]

  • 유한집합의 원소 개수
    • 유한 개의 원소만 갖는 유한집합 → 원소의 개수 셀 수 있음
    • 유한 집합 A의 원소 개수 → n(A)
    • A, B가 유한집합인 경우 성립
      • n(A ∪ B) = n(A) + n(B) - n(A ∩ B)
    • A, B가 공통부분이 없는 유한집합인 경우 성립
      • A ∩ B = ∅ 이면 n(A ∩ B) = 0 이므로 다음이 성립
      • n(A ∪ B) = n(A) + n(B)
  • 곱집합
    • 임의의 실수 a, b를 짝지은 (a, b) != (b, a)
    • (a, b) → 순서쌍
    • 집합 A, B에 대해 A에서 a를, B에서 b를 골라 이루어지는 순서쌍 (a, b)의 집합 → A X B, 곱집합
    • A = B인 경우, A X B == A X A == A²
    • 일반적으로 A X B != B X A
    • 두 집합 A, B가 유한집합일 때, A X B의 원소의 개수 n(A X B) = n(A) * n(B)
곱집합
- 집합 A, B가 주어졌을 때, A X B = {(a, b) | a ∈ A, b ∈ B}와 같이 각 집합의 원소들의 모든 순서쌍으로 이루어진 집합
- A와 B의 곱집합(cartesian product)

  • 고전적 의미의 확률
    • 확률 → 특정한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나타는 수치적 측도
    • 고전적 의미의 확률 → 표본 공간(sample)에서 사건(event)에 해당하는 원소가 차지하는 비율
      • 표본공간
        • sample
        • 실험에서 가능한 모든 결과의 집합
      • 사건
        • event
        • 표본공간 내에서 관심을 가지는 특정 부분집합
    • 표본공간 내에서 각 원소가 나타날 확률이 모두 동일, 사건 A가 발생활 확률 P(A)
      • P(A) = 사건 A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 / 표본공간 전체 원소의 개수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전단사함수와 역함수  (0) 2022.09.07
[대학수학] 함수의 정의  (0) 2022.09.07
[대학수학] 집합 연산의 기본 정리  (0) 2022.09.06
[대학수학] 집합의 연산  (0) 2022.09.06
[대학수학] 집합  (0) 202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