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로그
[대학수학] 수학의 정의 본문
[수학의 정의]
- 수학의 구분
- 순수 수학
- 수학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
- 추상화된 문제 해결에 초점 → 여러 이론 도출
- 응용 수학
- 물리학, 공학, 사회과학 등의 분야에서 필요한 수학 연구
- 순수 수학에서 얻은 이론 기반 현실 문제 구체화
- 추상화된 문제 해결 → 현실에 적용
- 순수 수학
- 수학의 정의
- 복잡한 현실 문제를 단순하게 추상화
- 추상화된 문제를 수학적 원리로 해결
- 그 결과를 현실에 적용
- 추상적 세계 - 현실 세계 연결시키는 다리 역할을 하는 학문
[수학의 기초 논리]
- 정리 vs 정의
- 정리 → 가정에 따라 결론이 이루어진다는 명제의 형태
- 정의 → 사전에 옳다고 정하는 것
- 명제?
- 가정 → P, 결론 → Q라고 할 때, "P이면 Q이다" → 형태로 구성
- 명제, "P → Q" 형태로 표현
- 참인 명제, "P ⇒ Q" 형태로 표현
- 대우명제
- "Q가 아니면 P가 아니다"
- 대우명제는 원래의 명제와 동일
- 충분조건, 필요조건
- 명제 "P → Q"가 참이어서 "P ⇒ Q"인 경우,
-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 필요충분조건
- "P ⇒ Q"이고 "Q ⇒ P"인 경우, "P ⇔ Q"라 표기
-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 동치라고도 표현
- 수학적 명제의 증명
- 연역법, 귀류법, 수학적 귀납법 등 사용
- 연역법
- 몇 개의 명제가 옳다는 가정 아래 다른 명제도 옳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밝히는 직접 증명법
- 수학적 증명에서 흔히 활용
- 귀류법
- 어떤 명제가 참임을 직접 도출하기 어려울 때, 명제가 거짓이라고 가정하고 추론하여 그 명제가 모순 또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그 명제가 참일 수밖에 없음을 증명
- 간접증명법
- 수학적 귀납법
- mathematical induction
- 자연수 n에 대한 명제가 있는 경우, n = 1일 때 성립, n = k일 때 명제가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n = k + 1일 때 같은 명제가 성립함을 보여 모든 자연수에 대해 명제가 성립함을 보이는 증명 방법
- 이미 알려진 사실을 엄격한 논리에 의하여 증명하는 방법
[수의 체계와 성질]
- 실수의 성질
- 서로 더하거나 곱해도 항상 새로운 실수가 된다 == 덧셈 혹은 곱셈에 관해 닫혀 있다
- 교환법칙
- a + b = b + a
- ab = ba
- 결합법칙
- (a + b) + c = a + (b + c)
- (ab)c = a(bc)
- 분배법칙
- a(b + c) = ab + ac
- (a + b)c = ac + bc
- 항등원
- a + 0 = a
- a * 1 = a
- 역원
- a + (-a) = 0 → -a는 a의 덧셈에 대한 역원
- a * a^-1 = 1 → a^-1은 a의 곱셈에 대한 역원
-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항등원, 역원을 모두 만족하는 집합 == 체(field)
- 뺄셈과 나눗셈은 역원의 합과 곱으로 표현
- 수의 체계
- 대학수학 → 실수 체계(real number system)에 기반
- 수의 체계
- 자연수
- 양의 정수
- natural number
- 1을 거듭 더해 만들어진 수
- 1, 2, 3, 4, 5...
- 정수
- integer
- 자연수에 0과 음의 자연수를 포함
- ..., -4, -3, -2, -1, 0, 1, 2, 3, ...
- 유리수
- rational number
- 정수로 측정할 수 없는 값 중 두 정수 m, n을 분수 꼴 n/m(m != 0)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
- 유한소수,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분류
- 0.56, 0.1666666
- 무리수
- irrational number
- 유리수 꼴로 표현할 수 없는 수
-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 √2, √3, 𝝿, e
- 실수
- real number
- 유리수 + 무리수
- 직선으로 표현
- 실수 직선(real line)에 모든 실수가 일대일로 대응
- 0 == 원점
- 임의의 실수 a에 대해, a는 항상 a > 0, a = 0, a < 0 중 하나
- a > 0 → a가 0의 오른쪽에 있음
- 실수 a, b에 대해 a - b도 실수
- a - b > 0, a - b = 0, a - b < 0 중 하나
- a > b, a = b, a < b 중 하나 성립
- 기하학적으로 a < b는 실수 직선에서 a가 b의 왼쪽에 있음을 의미
- 실수의 대소 성질
- a > b, b > c ⇒ a > c
- a > b ⇒ a + c > b + c, a - c > b - c
- a > b, c > 0 ⇒ ac > bc, a/c > b/c
- a > b, c < 0 ⇒ ac < bc, a/c < b/c
- 절댓값
- 실수 직선 위에서 어떤 실수 a에 대응하는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 |a|로 표현
- 절댓값의 성질
- |a| = a ( a >= 0 )
- |a| = -a ( a < 0 )
- |a| = |-a|
- |ab| = |a||b|
- |a/b| = |a| / |b| (b != 0)
- 자연수
- 구간
- 두 실수 사이의 모든 점의 모임
- 구간의 양 끝점 포함 여부에 따라 닫힌구간(closed interval) 또는 열린구간(open interval)으로 구분
- 어떤 실수 x가 두 실수 a, b 사이에 있는 경우
- a, b는 실수, a < b일 때
- { x | a < x < b } ⇒ (a, b) { x | a <= x <= b } ⇒ [a, b]
- { x | a <= x < b } ⇒ [a, b) { x | a < x <= b } ⇒ (a, b]
- { x | a < x } ⇒ (a, +∞) { x | a <= x } ⇒ [a, +∞)
- { x | x < b } ⇒ (-∞, b) { x | x <= b } ⇒ (-∞, b]
- <= ⇒ [ ]
- < ⇒ ( )
- 실수 직선 R은 (-∞, +∞)의 열린구간으로 표현
- 실수의 특징
- 조밀(dense)
- 서로 다른 두 실수 사이에는 또 다른 실수가 존재
- 서로 다른 두 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실수가 존재
- 두 실수 사이에 무수히 많은 유리수와 무리수가 존재
- 유리수와 무리수도 실수와 마찬가지로 조밀 → 무리수로 유리수를 근사시킬 수 있음
- 임의의 유리수와 가까운 어떤 무리수는 항상 존재
- 상한, 하한
- 구간 S, 그 구간 S에 속한 모든 실수 x에 대해 x <= a인 실수 a
- a보다 크거나 같은 실수 → 구간 S의 상계(upper bound)
- 구간 S → a에 의해 위로 유계
- 만약 a가 구간 S에 속하는 경우 → a는 구간 S의 최댓값
- 구간의 상계가 없는 경우 → 위로 유계되지 않음
- 마찬가지의 방법 → 구간 S의 하계(lower bound) 및 최솟값 정의 가능
- 일반적으로 상계나 하계는 유일하게 결정 X → 최소 상계, 최대 하계 정의 필요 O
- 최소 상계
- least upper bound
- 모든 상계 중 최소인 수
- 최소 상계가 존재하는 경우 → 유일하게 결정
- 최대 하계
- greatest lower bound
- 모든 하계 중 최대인 수
- 최대 하계가 존재하는 경우 → 유일하게 결정
[방정식의 그래프]
- 실수 → 수직선에 위치를 표시하여 크기나 구간을 구함
- 두 실수 x, y에 대한 순서쌍 (x, y)는 점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데 사용
- 좌표를 나타낸 평면 == 좌표평면
- 두 실수 x, y에 대한 순서쌍 (x, y)를 사용하여 직교좌표로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 데카르트 좌표
- 두 개의 수직선 x축, y축
- x축, y축이 만나는 점 == 원점 == O
- 직교좌표 체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
- 그래프
- 방정식 → x, y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달라지는 등식
- 등식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의 집합을 직교좌표 위에 표기 → 방정식의 그래프
- 직선 x값의 변화에 대한 y값 변화의 비 == 기울기 (slope)
-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 그래프
-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 y 절편(y intercept)
- 원
- 평면의 한 점 C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
- 점 C == 원의 중심, C와 원 위의 점을 잇는 선분 == 반지름
- 그래프
- 타원
- 두 고정점 A, B에 이러는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
- 두 고정점 A, B → 주어진 타원의 초점
- 타원
'YJ > 대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 함수의 정의 (0) | 2022.09.07 |
---|---|
[대학수학] 집합의 원소 개수와 고전적 확률 (0) | 2022.09.07 |
[대학수학] 집합 연산의 기본 정리 (0) | 2022.09.06 |
[대학수학] 집합의 연산 (0) | 2022.09.06 |
[대학수학] 집합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