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J (345)
코딩로그

[문제] BIG 프로젝트로 동문 커뮤니티 웹사이트를 만들려고 한다. 동문 커뮤니티의 관리자는 홈페이지와 선후배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일을 한다. 동문 커뮤니티 제작 프로젝트를 맡으신 Mr.Nam 교수님은 동문 커뮤니티 운영을 맡을 중요한 관리자를 뽑아달라는 부탁을 동아리에 전달했다. 회의 결과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매년 각 동아리에서 관리자를 선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각 동아리에서는 동아리원 N명을 선출하여, 그 중 백준 온라인 저지 알고리즘 문제를 푼 개수가 가장 많은 사람을 그 동아리의 관리자 후보로 선출한다. 각 동아리에서 뽑힌 후보들 중 가장 문제를 많이 푼 후보가 최종적으로 관리자가 된다.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는 다양한 분야의 동아리들이 활동하고 있다. 17년 기준으로 PROBRAIN, GRO..

[문제] 1루수가 누구인지 밝혀내는 과정에서, 2루수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극대노한 선수들은 2루수를 찾아내어 혼내주려고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2루수의 이름을 모른다! 하지만 감독님은 무엇인가 알고 계신 듯하다. "1루수가 누구야 2루수 이름이 뭐야 3루수는 몰라" 야구팀의 선수 리스트를 보고, 뭐가 있는지 찾아보자. 2루수 이름이 뭐야 [입력] 첫째 줄에 야구팀의 멤버 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선수의 이름이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한글로 주면 코딩하기 귀찮으므로 한/영키를 누르고 타이핑한 이름이 주어진다. 이름은 1글자 이상 99글자 이하이고, 영어 소문자들과 대문자 'Q', 'W', 'E', 'R', 'T', 'O', ..

[문제] 3학년인 홍익이는 이번 학기 전공필수 과목인 운영체제(OS) 수업을 들었다. 수업을 마치고, 얼마 후 교수님께서 클래스넷을 통해 전 학생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점 점수를 만점 기준 300점으로 환산하여 클래스넷에 올려주셨다. 물끄러미 점수를 바라보던 홍익이는, 불현듯 장학금을 꼭 받아야 된다는 사실이 떠올랐다. "운영체제 수업을 A0 이상 받지 못하면, 장학금을 받기 어려운데..." 교수님께서는 운영체제 첫 수업 시간에 학점 분포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다. A+: 1~5등 A0: 6~15등 B+: 16~30등 B0: 31~35등 C+: 36~45등 C0: 46~48등 F: 49~50등 교수님께서는 클래스넷의 수시정보 페이지에 학생들의 최종 점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점수를 보여주셨다. ..

[문제] "The quick brown fox jumped over the lazy dogs." 이 문장은 모든 알파벳이 적어도 한 번은 나오는 문장으로 유명하다.즉 26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갖고 있는 것이다. 각 케이스마다 문장에서 공백, 숫자, 특수 문자를 제외하고 얼마나 다양한 알파벳이 나왔는지를 구하면 된다. 대소문자는 하나의 문자로 처리한다. ex) 'A' == 'a' [입력] 입력은 250자를 넘지 않는 문장이 주어진다. 각 문장은 적어도 하나의 공백이 아닌 문자를 포함한다. (알파벳이 아닐 수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 주어진다. [출력] 각 줄마다 출몰한 알파벳의 개수를 출력하면 된다. [Source Co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

[문제] 지훈이는 Sort 마스터다. 그래서 어떠한 N개의 원소를 가진 배열이 들어오더라도 암산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의심 많은 보성이는 지훈이를 테스트해 보기로 마음먹었다. 하지만 모든 원소를 일일이 다 확인하는 것은 너무 귀찮은 일이라 생각한 보성이는 정렬된 배열의 마지막 원소만 맞는지 확인해 보기로 했다. 보성이를 위하여 마지막 원소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500,000)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 A[N]이 주어진다. (0 ≤ A[i] ≤ 109) [출력] 첫째 줄에 정렬된 배열 A의 마지막 원소를 출력한다. [Source Code] #include #include #include #i..

[문제] 괄호 문자열(Parenthesis String, PS)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 와 ‘)’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Valid PS, VPS)이라고 부른다. 한 쌍의 괄호 기호로 된 “( )” 문자열은 기본 VPS 이라고 부른다. 만일 x 가 VPS 라면 이것을 하나의 괄호에 넣은 새로운 문자열 “(x)”도 VPS 가 된다. 그리고 두 VPS x 와 y를 접합(concatenation)시킨 새로운 문자열 xy도 VPS 가 된다. 예를 들어 “(())()”와 “((()))” 는 VPS 이지만 “(()(”, “(())()))” , 그리고 “(()” 는 모두 VPS 가 아닌 문자열이다. 여러분은 입력으로 주어진 괄호 문..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

[문제] 윤정이는 뭐든지 아름다운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윤정이는 사물을 볼 때 자신이 정한 방법으로 아름다운 정도를 평가한다. 윤정이는 수를 볼 때도 이런 아름다운 수의 정도를 따지는데, 윤정이에게 있어서 아름다운 수의 정도는 그 수를 이루고 있는 10진수의 서로 다른 숫자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22이라는 수는 1과 2 라는 2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아름다운 정도가 2가 된다. 윤정이의 방법으로 여러 수들의 아름다운 정도를 알아보자.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다음 줄부터는 아름다운 정도를 알고 싶은 수 X(1 ≤ X ≤ 1000000000)가 주어진다. [출력]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마다 X의 아름다운 정도를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