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J/대학수학
[대학수학] 함수의 연산
Team DAON
2022. 9. 7. 23:53
[함수의 연산]
- 함수의 연산
- 두 개의 실수 함수 f, g에 대하여 실수의 연산자를 이용해 함수 사이의 연산 정의 가능
- (f + g)(x) = f(x) + g(x)
- (f - g)(x) = f(x) - g(x)
- (fg)(x) = f(x) * g(x)
- (f/g)(x) = f(x) / g(x), 단, g(x) != 0
- (af)(x) = a * f(x) 단, a는 임의의 실수
- 합성 함수
- 세 개의 집합 X, Y, Z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두 개의 함수
- f : X → Y, g : Y → Z
- 이러한 두 함수를 연결하여 생각하면 X의 임의의 원소 x의 f에 의한 함숫값 f(x)가 정해짐
- 다음에 f(x)의 g에 의한 함숫값으로서 Z의 원소 g(f(x))가 정해짐
- 세 개의 집합 X, Y, Z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두 개의 함수
합성함수
- 두 함수가 f : X → Y와 g : Y → Z일 때,
g ∘ f : X → Z 는 (g ∘ f)(x) = g(f(x))로 정의
- 일반적으로 f ∘ g != g ∘ f이므로 함수에서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
- 예외
- f ∘ f^(-1), f^(-1) ∘ f와 같이 f, g가 함수와 역함수의 관게라면 합성함수는 순서에 상관없이 항등함수(x)가 되므로 예외적 경우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