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로그
[백준/BOJ/C++] 1864번 문어 숫자 본문
[문제]
해류가 매우 느리고 바닥을 기어다니는 생물이 적은 바다 밑바닥에서만 발견되는 잔물결 무늬의 정체는 오랫동안 해양학자들에게 수수께끼였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성과는 동물 언어학 분야에 일대 혁명을 불러왔다. 이 무늬의 정체는 바로 문어가 숫자를 적는 방법이라는 것이 해양 생물학자들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학자들은 문어가 무엇을 세는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수 표기법을 해독하는 데에는 성공했다.
뭍 위에 사는 이들에게는 문어가 쓰는 숫자와 그를 표현하는 잔물결 무늬가 매우 낯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 잔물결 무늬를 적기로 합의했다. 각 기호와 대응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다.
- -는 0에 대응한다.
- \는 1에 대응한다.
- (는 2에 대응한다.
- @는 3에 대응한다.
- ?는 4에 대응한다.
- >는 5에 대응한다.
- &는 6에 대응한다.
- %는 7에 대응한다.
- /는 -1에 대응한다.
해양 신경학자들은 특히 음수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다는 사실에 흥분하면서, 아직 걸음마 단계인 두족류 신경학이 이 발견을 계기로 크게 발전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당연히 문어의 수 체계는 8진법에 기반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는 2 × 82 + 3 × 8 + 6 = 158이다.
?/--는 4 × 83 + −1 × 82 + 0 × 8 + 0 = 1984이다.
/(\는 −1 × 82 + 2 × 8 + 1 = −47이다.
당신에게 주어진 문제는 문어 숫자를 입력 받아 십진수로 나타내는 것이다.
[입력]
한 줄에 하나씩 문어 숫자가 입력으로 주어진다. 각 숫자는 최소 한 개, 최대 여덟 개의 문어 숫자 기호로 이루어져있다. 입력으로 '#'이 들어오면 입력을 종료한다.
[출력]
입력 받은 문어 숫자에 대응하는 십진수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Source Code]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change(char input){
if(input == '-') return 0;
else if(input == '\\') return 1;
else if(input == '(') return 2;
else if(input == '@') return 3;
else if(input == '?') return 4;
else if(input == '>') return 5;
else if(input == '&') return 6;
else if(input == '%') return 7;
else if(input == '/') return -1;
}
int main() {
while(true){
string input;
cin >> input;
if(input == "#") break;
int result = 0, count = 0;
for(int i = input.length() - 1; i >= 0; i--){
result += (change(input[i]) * pow(8.0, count));
count++;
}
cout << result << "\n";
}
}
[결과 화면]
'YJ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OJ/C++] 2966번 찍기 (0) | 2021.12.31 |
---|---|
[백준/BOJ/C++] 2386번 도비의 영어 공부 (0) | 2021.12.31 |
[백준/BOJ/C++] 1568번 새 (0) | 2021.12.31 |
[백준/BOJ/C++] 1547번 공 (0) | 2021.12.31 |
[백준/BOJ/C++] 2442번 별 찍기 - 5 (0) | 2021.12.31 |